이대섭 기자
장동혁 "金총리가 반미로 태세전환 하나 미국 협박…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25일 미국 당국의 비자 문제와 한국의 대미 투자를 결부한 김민석 국무총리 인터뷰에 관해 "김 총리가 미국을 협박하며, 반미 선동으로 태세를 전환한 것이 분명하다"며 핏대를 세웠다.
장동혁 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민석 총리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 해결 전까지 미국 투자 없다.
통화 스와프 없으면 3500억 달러 투자는 어렵다'고 밝혔다"며 "관세 문제를 외교로 풀어야 할 책임자인 국무총리가 미국을 향해서 협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 총리가 전날 블룸버그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실질적인 진전을 기대하기는 사실상 불가하다.
(비자 문제 해결까지)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던 걸 장 대표가 지적한 것이다.
김 총리의 인터뷰 발언은 한때 국내 일부 언론이 '비자 문제 해결 전까지 미국 투자 없다'라고 의역해 보도했다가 뒤늦게 수정, 삭제했다.
그러나 장 대표는 수정 전 보도를 기초로 비판을 이어갔다.장 대표는 "한국에 대해서는 통화 스와프를 거부했던 미국이 아르헨티나에 대해서는 먼저 통화 스와프를 제시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라고 말했다.그러면서 "대한민국 대통령이 이재명이라는 것,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김민석이라는 것,
그것이 지금 대한민국의 최대의 리스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세 협상이 제대로 되지 않자 반미 선동으로 태세를 전환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라면서다.
김민석 총리는 같은 날 서울에서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그때까지 미국에 대한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무총리실은 같은 날 블룸버그 인터뷰 내용과 관련해 보도자료를 통해 “김민석 총리는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굉장히 꺼리는 상황임을 설명한 것”이라며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것은 아니다”라고 알려왔다.